단백뇨
신장 사구체 필터에 구멍 나서 단백질 새는 것
세뇨관 - 단백질 재흡수 과정에서 주변 섬유화
단백뇨 정량검사
- 150mg 미만/24시간: 정상
- 150 - 500mg/24시간: 경미한 단백뇨 (신장 건강 모니터링 필요)
- 500 - 3,500mg/24시간: 중등도 단백뇨 (신장 손상 가능성 증가)
- 3,500mg 이상/24시간: 심한 단백뇨 (신증후군 의심)
사구체 여과율
사구체막을 통과하는 혈장의 속도 / 분당
eGFR 해석 기준 ; 72
- 90 이상: 정상 또는 건강한 신장 기능.
- 60 - 89: 약간의 기능 저하가 있을 수 있지만,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범위.
- 30 - 59: 중등도의 신장 기능 저하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.
- 15 - 29: 심각한 신장 기능 저하, 투석 준비를 고려할 수 있음.
- 15 미만: 말기 신부전 상태로, 투석이나 이식이 필요한 단계.
크레아티닌(Cratinine, Cr)
근육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인 크레아티닌은 혈액으로 분비되어 신장에서 여과 후 소변으로 배설
신장 질환진단, 신장 기능(GFR, 사구체 여과율) 평가, 치료 효과를 관찰하는데 유용한 수치
운동 후 근육량이 높을수록 - 증가
Creatinine 크레아티닌 0.51~0.95mg/dL / 1.2
2 이상 = 신부전
신장기능검사
초음파 - 극소 마취 - 등뒤로 긁어내서 조직검사
2주 내 검사결과 - 단백뇨 등 원인 처방
신장 기능개선
- 충분한 수분 섭취
- 저염식, 저단백식
- 운동
출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