눈의 성장
막 태어난 갓난아이들은 눈의 길이(각막과 망막상의 거리)가 짧아 가까운 곳을 잘 보지 못하는
원시 Hyperopia 상태입니다.
점점 몸이 성장하면서 안구도 함께 자라는데, 보통 20살 정도면 안구 성장이 멈춥니다.
이 기간에 생활습관이나 유전적 요인으로 안구가 정상치보다 길게 자라면 상이 망막 앞쪽에 맺히면서
먼 곳이 잘 보이지 않는 근시 Myopia 가 됩니다.
눈 초점
눈의 초점 조절은 섬모근과 수정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.
가까운 사물을 볼 때 섬모근은 수축하고, 이로 인해 수정체에 연결된 지지인대가 느슨해져
수정체가 더 뾰족해지고 두꺼워집니다. 이 변화는 빛의 굴절률을 증가시켜 가까운 사물에 초점을 맞춥니다
원거리 사물을 볼 때 섬모근은 이완되고, 지지인대가 긴장되어 수정체가 얇아집니다.
이로 인해 빛의 굴절률이 감소하고, 원거리 사물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됩니다
눈의 구조
공막 Sclera - 눈의 형태 유지, 보호
홍채 Iris - 동공 Pupil 의 크기로 빛의 양 조절
각막 Cornea - 빛이 망막에 도달하도록 1차 굴절시켜 주는 역할 / 울퉁불퉁 = 난시
수정체 Lens - 빛이 정확히 도달하도록 2차 굴절시켜 주는 역할
섬모체 Ciliary muscle - 수정체의 두께로 원근 조절
망막 Retina - 빛의 형태를 전기 화학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역할
결막 Conjunctiva - 눈물의 점액층을 생성하고 안구 표면을 보호
맥락막 Choroid - 검은 색소로 암실 역할, 빛의 산란 방지
황반 Macula - 망막의 중심부로 시세포 시신경이 집중된 곳
유리체 Vitreous - 눈의 형태 유지
자세하게 설명해주신 서서승현님 참조
안경
안경은 근시, 원시 및 난시와 같은 굴절 이상을 교정해서 사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
도와주는 역할과 수정체 운동을 줄여 에너지 소모를 줄입니다
안경을 벗었을 때 잘 보이지 않아 눈은 스스로 초점을 맞추기 위해 섬모체 조절을 하므로,
안경을 썼다 벗었다 한다고 눈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.
다만 좌우 시력 차이가 많이 나면 항시 착용해야 합니다.
피로도
근시 - 가까운 곳 볼 때 모양체에 힘을 줘 수정체를 두껍게 한다 - 에너지 소모가 많다
원시 - 먼 곳 볼 때 모양체에 힘을 빼서 수정체를 얇게 한다 - 에너지 소모가 적다
참고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VylT0_o89jQ